Researches

영양중재

노인 영양중재 연구 소개

목표 및 내용

  • 최종목표: 노쇠 예방을 위한 적정 단백질 섭취량을 산출하고, 영양보충제를 개발하기 위하여 영양중재 연구를 실시함.
  • 연차별 목표 및 내용
    구분 목표 주요 연구개발 내용
    1단계
    (2016-2017)
    노쇠 예방을 위한 적정 단백질 섭취량을 규명함 70~85세 노쇠 및 영양불량 위험이 있는 노인을 선정하여 위약대조군(40명), 1.2 g/kg 단백질 섭취군(40명), 1.5 g/kg 단백질 섭취군(40명)으로 하는 12주 무작위배정 위약대조군 이중맹검 임상중재연구를 실시함
    2단계
    (2018-2019)
    노쇠대상 네트워크 기반 영양중재 프로그램 개발
    • 지역사회 무작위 실험대조 연구 수행
    보건소 및 병원에서 근무하는 영양사를 대상으로 한 프로그램 책자 및 교육자료 제작
    • 영양보충군(1), 영양보충+네트워크기반 영양상담(2), 대조군(3)으로 군 할당한 12주 무작위 실험대조연구 실시 후 최대 1년까지 장애발생 예방효과를 관찰함

주요 연구개발 내용

  • 영양중재연구 1
    • 연구목적: 영양불량의 위험이 있는 노쇠 또는 노쇠 전단계 노인에서 노쇠예방을 위한 적정 단백질 섭취량을 규명
    • 연구대상자: 70~85세 노인; Fried 노쇠기준인 체중감소, 악력저하, 심한피로, 보행속도저하, 활동량저하 중 1개이상 노쇠 위험군; Mini Nutritional Assessment (MNA)-Short form으로 11점 이하인 영양불량 위험군; 연구에 참여중인 경우, 간부전이나 만성신부전 등 의사로부터 단백질 식이제한을 받고 있는 경우, 청력이나 시력이 연구에 참여할 수 없을 정도로 나쁜 경우 제외
    • 연구디자인: 무작위배정, 이중맹검, 12주 임상중재연구
    • 연구기간: 12주
    • 영양중재군: 위약대조군 (40명), 1.2g/kg 단백질 섭취군 (40명), 1.5g/kg 단백질 섭취군 (40명)
      • 24시간 회상법을 3회 실시하여 평소 식이섭취에서 단백질 섭취량을 측정함. 1.2g/kg, 1.5g/kg 단백질 섭취가 되도록 무작위 배정으로 단백질을 제공함.
      • 대조군은 동일한 양의 전분파우더를 제공함. 제공된 파우더는 음식에 넣거나 음료에 섞어 섭취할 수 있음.
      • 탈락률 20%로 산정하여 군당 32명을 선정함. 일상식생활을 유지하고 단백질가루만 추가로 섭취하도록 교육함. 격주로 전화 또는 직접방문으로 24시간 회상법을 실시하고 제공된 단백질 또는 전분파우더의 섭취량을 조사함. 간격으로 방문조사를 실시함.
    • 표 1. 주요 영양정보 (10g/포)
      성분 함량 아미노산 조성 함량
      열량(kcal) 35 히스티딘(g) 0.22
      탄수화물(g) 0 이소루신(g) 0.53
      지방(g) 0 루신(g) 1.11
      단백질(g) 9 라이신(g) 1.10
      비타민A(μg RE) 3 메치오닌(g) 0.23
      비타민C(mg) 0.2 페닐알라닌(g) 0.35
      비타민D(μg) 0.02 트레오닌(g) 0.44
      칼슘(mg) 12 트립토판(g) 0.27
      인(mg) 9 발린(g) 0.54
      칼륨(mg) 6 알라닌(g) 0.46
      마그네슘(mg) 3 아르기닌(g) 0.23
      철(mg) 0.2 아스파르트산(g) 1.10
       나트륨(mg) 75 시스테인(g) 0.30
          글루탐산(g) 1.63
          글리신(g) 0.16
          프롤린(g) 0.44
          세린(g) 0.27
          타이로신(g) 0.35
    • 측정지표(표 2)
      • -primary endpoint: 신체조성(BMI; 근육량, 지방량, 골밀도)을 DEXA측정
      • secondary endpoint: KLoSHA 노쇠지표 (Short Physical performance Battery, Korean Activities of Daily Living, Korean Instrumental Activities of Daily Living, Korean version of MMSE for Dementia Screening), Fried 노쇠기준 (체중감소, 악력저하, 심한피로, 보행속도저하, International Physical Activity Questionnaire), Timed Up & Go, 낙상 및 입원기록, hs-CRP, C-peptide, IGF-1의 혈중 농도
      • 안전성: 혈액학적검사(WBC, RBC, hemoglobin, hematocrit, platelets count), 혈액생화학적 검사(빌리루빈, ALP, gamma-GT, ALT, AST, 지방산조성, 혈당, keton, 인슐린, IFG-1, BUN, CK, LDH, 알부민), 소변검사(specific gravity, pH, nitrite, protein, glucose, ketone, urobilinogen, bilirubin, microscopic WBC/RBC)
      • 영양상태평가: 식이조사(24시간회상법), MNA
    • 표 2. 방문별 측정 일정 요약*
        스크리닝
      (~4주이내)
      1차 방문
      (0주)
      2차 가정방문
      (2주)
      3차 가정방문
      (4주)
      4차 방문
      (6주)
      5차 가정방문
      (8주)
      6차 가정 방문
      (10주)
      7차 방문
      (12주)
      서면동의서 o              
      노쇠(Fried score) o o     o     o
      영양불량(MNA) o o o o o o o o
      식이조사
      (24시간회상법)
      o o o o o o o o
      인구학적조사 o              
      병력조사 o o     o o
      DEXA   o           o
      무작위배정   o            
      신체계측   o     o     o
      시험용제품 공급   o   o      
      신체기능평가   o     o     o
      진단의학검사
      (혈액, 소변)
        o     o     o
      이상반응모니터링     o o o o o o
      제품순응도 검사       o o
      * 매주 전화방문 실시: 24시간 회상법, 이상반응 모니터링 및 제품순응도 평가
  • 영양중재연구 2
    • 본 연구는 노쇠 대상자에게 고단백 영양보충제와 함께 사회적 관계망 유형에 기반한 영양상담을 제공하였을 때 장애발생 예방효과에 대한 지속시간이 유의미하게 상승할 수 있을지를 검증하고자 함. 이를 위해 1) 노쇠 예방을 위한 네트워크 기반 영양중재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2) 실제 지역사회 무작위 실험대조연구를 통해 효과성을 평가하고자 함.
    • 연구디자인: 지역사회 무작위 실험대조연구(community-based, single-blinded, 3-arm: 그림 2)
    • 연구대상: 노쇠 대상자 180명
    • ※ 진입기준: 1) 65세 이상, 2) 보행속도검사 < 0.6m/sec, 3) 간이영양평가 < 24점
    • ※ 제외기준: 1) 보행 불가능, 2) 기존 재활운동 또는 임상영양치료 프로그램 대상자,
    • 3) 내과의사로부터 단백질 식이제한 지시받은 자(만성신부전, 중증 간부전 등)
    • ※ 모집전략: 보건소 방문간호사 노쇠간이평가(1차선별) → 연구간호사 연구기준 재평가
    • 연구중재:
    • ▶ 중재1군(영양보충군): 고단백 영양보충제를 12주 동안 매일 3회 식사와 함께 복용
    • → 총 일일단백질 1.2g/kg(또는 1.5g/kg)으로 보충
    • ※ 1~2차년도 연구결과에 따라 변동가능
    • ▶ 중재2군(영양보충+네트워크기반 영양상담군):
    • 1) 영양보충제 제공: 고단백 영양보충제를 8주 동안 매일 3회 복용하도록 함
    • → 총 일일단백질 1.2g/kg(또는 1.5g/kg)으로 보충
    • 2) 네트워크기반 영양상담 및 중재: 가정방문 개별영양상담 5회, 그룹 요리교실 3회
    • → 영양관리 동기부여, 식품선택 정보, 실질적 돌봄제공자 확보, 자기효능감 증진
    • ▶ 대조군: 가정방문 6회, 간단한 선물 제공

    • 그림 2. 네트워크 기반 영양중재 무작위 실험대조 연구설계
      ※ 네트워크 기반 영양중재 프로그램(예시):
      1주 3주 5주 6주 7주 8주 10주 12주
      영양보충 - - -
      영양평가
      영양상담 network유형평가 개별
      영양상담
      그룹별
      요리실습
      그룹별
      요리실습
      그룹별
      요리실습
      개별
      영양상담
      개별
      영양상담
      개별
      영양상담
      중재목표 실질적 돌봄제공자를 규명하고 영양관리의 중요성을 교육함 Network별로 다름
      1) 실질적 돌봄제공자와 경험공유
      2) 소그룹 조직화로 네트워크 증진
      영양보충제 공급중단 시기로
      스스로 고단백 식이를 섭취하도록 격려하고 장애요인을 제거함
      • 네트워크 유형별 1~3주차 프로그램
        • ① Family-dependent & Integrated Network Type:

          가족의존 또는 지역사회 통합 유형에서는 실질적 돌봄제공자를 규명하고 12주간 모든 영양상담 과정에 이들을 참여시키는 것이 중요함. Kim(2016)에 따르면 이들 유형에서 식품선택은 결국 자신의 선호가 아닌 돌봄제공자의 선택에 의존하고 있기 때문임. 따라서 이들 유형에서 영양상담의 목표는 돌봄제공자가 고단백 식이섭취의 중요성을 이해하고 프로그램 종료 후에도 노쇠 대상자를 도와 이와 같은 식이섭취가 지속될 수 있도록 돕는 것임.

        • ② Isolated Network Type

          광범위 지역형, 지역고립형 또는 완전고립형의 경우 식품선택에 영향을 미치는 실질적 돌봄제공자가 없는 유형임(Kim, 2016). 따라서 이들에게는 개별적인 영양상담을 통해 스스로 고단백 식이섭취를 할 수 있도록 동기를 부여하고 정확한 정보를 제공하는 것이 중요함. 특히 Food Choice Value 및 Barrier에 대한 평가를 통해 잘못된 선호를 교정해줄 필요가 있음. 예를 들어, 완전고립형에서 천연식품(natural contents)의 선호는 영양섭취의 질을 높이는 반면, 친숙한 식품(familiarity)의 선호는 영양섭취의 질을 낮추는데 기여하는 요인임(Kim, 2016).

      • 네트워크 유형별 5~7주차 프로그램
        • ① Family-dependent & Integrated Network Type:

          실질적 돌봄제공자와 함께 그룹 프로그램에 참여하는 것을 원칙으로 함. 이 시기는 영양보충제의 효능이 극대화되는 때로 그룹상담을 통해 노쇠 대상자에서 발생한 자기효능감(self-efficacy)이 실질적 돌봄제공자와 함께 공유될 수 있도록 함. 함께 반찬을 만들고 역할을 나누도록 격려함. 보다 중요한 목표는 프로그램이 종료된 이후에도 영양보충제만큼의 고단백 식이를 지속적으로 섭취하는 것임을 강조함.

        • ② Isolated Network Type

          5주차에는 그룹별 요리교실에 참여한 노쇠 대상자의 거주지역과 식품선호도(Food Choice Value)를 고려하여 3~5명의 소그룹을 조직하게 함. 소그룹별로 영양보충제를 통해 증진된 자기효능감이 공유될 수 있도록 그룹상담을 진행하고, 소그룹간의 친밀감이 형성될 수 있도록 도움. 3주간 지속되는 요리교실을 통해 정확한 식품선택정보를 제공할 뿐만 아니라 프로그램 종료 이후에도 자조모임이 지속될 수 있도록 격려함. 동기부여가 잘 된 소그룹의 경우 7주차에는 함께 장을 보고 좋은 식품을 선택했는지에 대해 토의할 수 있도록 함.

      • 네트워크 유형별 5~7주차 프로그램
        • ① Family-dependent & Integrated Network Type:

          실질적 돌봄제공자와 함께 그룹 프로그램에 참여하는 것을 원칙으로 함. 이 시기는 영양보충제의 효능이 극대화되는 때로 그룹상담을 통해 노쇠 대상자에서 발생한 자기효능감(self-efficacy)이 실질적 돌봄제공자와 함께 공유될 수 있도록 함. 함께 반찬을 만들고 역할을 나누도록 격려함. 보다 중요한 목표는 프로그램이 종료된 이후에도 영양보충제만큼의 고단백 식이를 지속적으로 섭취하는 것임을 강조함.

        • ② Isolated Network Type

          5주차에는 그룹별 요리교실에 참여한 노쇠 대상자의 거주지역과 식품선호도(Food Choice Value)를 고려하여 3~5명의 소그룹을 조직하게 함. 소그룹별로 영양보충제를 통해 증진된 자기효능감이 공유될 수 있도록 그룹상담을 진행하고, 소그룹간의 친밀감이 형성될 수 있도록 도움. 3주간 지속되는 요리교실을 통해 정확한 식품선택정보를 제공할 뿐만 아니라 프로그램 종료 이후에도 자조모임이 지속될 수 있도록 격려함. 동기부여가 잘 된 소그룹의 경우 7주차에는 함께 장을 보고 좋은 식품을 선택했는지에 대해 토의할 수 있도록 함.

    • 평가지표:
      • 1) 1차 평가지표(primary outcome):
        • ▶ 장애 및 노쇠지표: 신체기능척도(Physical Functioning), 간이신체기능평가(SPPB)의 상대변화량 및 효과지속기간
      • 2) 2차 평가지표(primary outcome):
        • ▶ 노쇠지표: Tilberg Frailty Index
        • ▶ 영양·기능지표: 영양소별 섭취량, 영양소별 적정비(Nutrient Adequacy Ratio), 평균적정비(Mean Adequacy Ratio), 신체조성비(체근육량, 체지방량: BIA), 체중, 중완둘레, 종아리둘레, 간이영양평가(Mini-Nutritional Assessment), 악력, 보행속도
        • ▶ 사회적관계 지표: 사회적관계망 유형평가(PANT), 사회자본(social capital), 사회적 참여(social engagement)
        • ▶ 혈액학적 지표: 혈액학적 영양지표(prealbumin, total lymphocyte count, hemoglobin, BUN, Creatinine), 혈액학적 염증지표(IL-6, TNF-α)
          ※ 평가지표의 측정은 군 할당에 대한 정보가 없는 독립된 연구영양사(2)가 담당
      • 표 3. 평가지표 측정변수
        항목 측정항목 인력 측정시기
        기초조사평가 연령, 성별, 교육수준, 월평균소득, 복합유병상태, 만성질환 개수, 흡연·음주·약물·건강식품 복용, 지역사회서비스 이용 연구
        간호사
        0주
        영양기능평가 식이섭취조사(24시간 회상법, 비연속 3회), 신체조성비,
        신체계측(키, 체중, 중완둘레, 종아리둘레), 간이영양평가, 식품선택선호(Food Choice Questionnaire), 식품선택방해요인(Vailas Food Enjoyment Questionnaire)
        연구
        영양사2
        종료전 0,6,12주, 종료 후 3개월 간격
        사전·사후평가 간이신체기능평가(SPPB), 3m 보행속도, 악력 연구
        영양사2
        신체기능척도(PF), 노쇠지표(Tilberg Frailty Indicator), 사회적관계망 유형평가(PANT), 사회자본(social capital), 사회적 참여(social engagement) 연구
        영양사2
        종료전
        2주 간격,
        종료 후
        1개월 간격
        혈액학적평가 혈액학적 영양지표(prealbumin, total lymphocyte count, hemoglobin, BUN, Creatinine), 혈액학적 염증지표(IL-6, TNF-α) 연구
        간호사
        0,6,12주
        순응도·부작용 순응도(남긴 영양보충제), 부작용(보충제 복용 후 불편증상) 연구
        영양사2
        종료전
        2주 간격
        * 평가지표의 측정간격은 예산 및 투입인력에 따라 조정가능함.
        * 혈액학적 평가 항목은 예산에 따라 조정가능함.

참고문헌

이윤환. 노년기의 생리적 특성.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 춘-추계학술대회지, 제1999년 2호. 1999.
Aleman-Mateo H, Macias L, Esparza-Romero J, Astiazaran-Garcia H, Blancas AL. Physiological effects beyond the significant gain in muscle mass in sarcopenic elderly men: evidence from a randomized clinical trial using a protein-rich food. Clinical interventions in aging. 2012;7:225-34.

Baier S, Johannsen D, Abumrad N, Rathmacher JA, Nissen S, Flakoll P. Year-long changes in protein metabolism in elderly men and women supplemented with a nutrition cocktail of beta-hydroxy-beta-methylbutyrate (HMB), L-arginine, and L-lysine. JPEN Journal of parenteral and enteral nutrition. 2009;33(1):71-82. Bartali B, Frongillo EA, Bandinelli S, Lauretani F, Semba RD, Fried LP, et al. Low nutrient intake is an essential component of frailty in older persons. The journals of gerontology Series A, Biological sciences and medical sciences. 2006;61(6):589-93. Bauer J, Biolo G, Cederholm T, Cesari M, Cruz-Jentoft AJ, Morley JE, et al. Evidence-based recommendations for optimal dietary protein intake in older people: a position paper from the PROT-AGE Study Group. Journal of the American Medical Directors Association. 2013;14(8):542-59.

Bauer JM, Verlaan S, Bautmans I, Brandt K, Donini LM, Maggio M, et al. Effects of a Vitamin D and Leucine-Enriched Whey Protein Nutritional Supplement on Measures of Sarcopenia in Older Adults, the PROVIDE Study: A Randomized, Double-Blind, Placebo-Controlled Trial. Journal of the American Medical Directors Association. 2015;16(9):740-7.

Campbell AJ, Buchner DM. Unstable disability and the fluctuations of frailty. Age and ageing. 1997;26(4):315-8.
Campbell WW, Trappe TA, Wolfe RR, Evans WJ. The recommended dietary allowance for protein may not be adequate for older people to maintain skeletal muscle. The journals of gerontology Series A, Biological sciences and medical sciences. 2001;56(6):M373-80. Cruz-Jentoft AJ, Baeyens JP, Bauer JM, Boirie Y, Cederholm T, Landi F, et al. Sarcopenia: European consensus on definition and diagnosis: Report of the European Working Group on Sarcopenia in Older People. Age and ageing. 2010;39(4):412-23. Deutz NE, Pereira SL, Hays NP, Oliver JS, Edens NK, Evans CM, et al. Effect of beta-hydroxy-beta-methylbutyrate (HMB) on lean body mass during 10 days of bed rest in older adults. Clinical nutrition (Edinburgh, Scotland). 2013;32(5):704-12. Elango R, Humayun MA, Ball RO, Pencharz PB. Protein requirement of healthy school-age children determined by the indicator amino acid oxidation method. The American journal of clinical nutrition. 2011;94(6):1545-52. Evans WJ. Protein nutrition, exercise and aging. Journal of the American College of Nutrition. 2004;23(6 Suppl):601s-9s. Flakoll P, Sharp R, Baier S, Levenhagen D, Carr C, Nissen S. Effect of beta-hydroxy-beta-methylbutyrate, arginine, and lysine supplementation on strength, functionality, body composition, and protein metabolism in elderly women. Nutrition (Burbank, Los Angeles County, Calif). 2004;20(5):445-51.

Fried LP, Tangen CM, Walston J, Newman AB, Hirsch C, Gottdiener J, et al. Frailty in older adults: evidence for a phenotype. The journals of gerontology Series A, Biological sciences and medical sciences. 2001;56(3):M146-56. Houston DK, Nicklas BJ, Ding J, Harris TB, Tylavsky FA, Newman AB, et al. Dietary protein intake is associated with lean mass change in older, community-dwelling adults: the Health, Aging, and Body Composition (Health ABC) Study. The American journal of clinical nutrition. 2008;87(1):150-5.

Humayun MA, Elango R, Ball RO, Pencharz PB. Reevaluation of the protein requirement in young men with the indicator amino acid oxidation technique. The American journal of clinical nutrition. 2007;86(4):995-1002. Iglay HB, Thyfault JP, Apolzan JW, Campbell WW. Resistance training and dietary protein: effects on glucose tolerance and contents of skeletal muscle insulin signaling proteins in older persons. The American journal of clinical nutrition. 2007;85(4):1005-13. Katsanos CS, Kobayashi H, Sheffield-Moore M, Aarsland A, Wolfe RR. A high proportion of leucine is required for optimal stimulation of the rate of muscle protein synthesis by essential amino acids in the elderly. American journal of physiology Endocrinology and metabolism. 2006;291(2):E381-7.

Kim CO, Lee KR. Preventive effect of protein-energy supplementation on the functional decline of frail older adults with low socioeconomic status: a community-based randomized controlled study. The journals of gerontology Series A, Biological sciences and medical sciences. 2013;68(3):309-16.

May PE, Barber A, D'Olimpio JT, Hourihane A, Abumrad NN. Reversal of cancer-related wasting using oral supplementation with a combination of beta-hydroxy-beta-methylbutyrate, arginine, and glutamine. American journal of surgery. 2002;183(4):471-9. Milne AC, Avenell A, Potter J. Meta-analysis: protein and energy supplementation in older people. Annals of internal medicine. 2006;144(1):37-48. Molfino A, Gioia G, Rossi Fanelli F, Muscaritoli M. Beta-hydroxy-beta-methylbutyrate supplementation in health and disease: a systematic review of randomized trials. Amino acids. 2013;45(6):1273-92. Ng TP, Feng L, Nyunt MS, Feng L, Niti M, Tan BY, et al. Nutritional, Physical, Cognitive, and Combination Interventions and Frailty Reversal Among Older Adults: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The American journal of medicine. 2015. Paddon-Jones D, Rasmussen BB. Dietary protein recommendations and the prevention of sarcopenia. Current opinion in clinical nutrition and metabolic care. 2009;12(1):86-90. Pennings B, Boirie Y, Senden JM, Gijsen AP, Kuipers H, van Loon LJ. Whey protein stimulates postprandial muscle protein accretion more effectively than do casein and casein hydrolysate in older men. The American journal of clinical nutrition. 2011;93(5):997-1005. Phillips SM, Tang JE, Moore DR. The role of milk- and soy-based protein in support of muscle protein synthesis and muscle protein accretion in young and elderly persons. Journal of the American College of Nutrition. 2009;28(4):343-54. Smoliner C, Norman K, Scheufele R, Hartig W, Pirlich M, Lochs H. Effects of food fortification on nutritional and functional status in frail elderly nursing home residents at risk of malnutrition. Nutrition (Burbank, Los Angeles County, Calif). 2008;24(11-12):1139-44. Solerte SB, Gazzaruso C, Bonacasa R, Rondanelli M, Zamboni M, Basso C, et al. Nutritional supplements with oral amino acid mixtures increases whole-body lean mass and insulin sensitivity in elderly subjects with sarcopenia. The American journal of cardiology. 2008;101(11a):69e-77e.

Stephens TV, Payne M, Ball RO, Pencharz PB, Elango R. Protein requirements of healthy pregnant women during early and late gestation are higher than current recommendations. The Journal of nutrition. 2015;145(1):73-8. Stout JR, Smith-Ryan AE, Fukuda DH, Kendall KL, Moon JR, Hoffman JR, et al. Effect of calcium beta-hydroxy-beta-methylbutyrate (CaHMB) with and without resistance training in men and women 65+yrs: a randomized, double-blind pilot trial. Experimental gerontology. 2013;48(11):1303-10.

Tang M, McCabe GP, Elango R, Pencharz PB, Ball RO, Campbell WW. Assessment of protein requirement in octogenarian women with use of the indicator amino acid oxidation technique. The American journal of clinical nutrition. 2014;99(4):891-8. Tieland M, Dirks ML, van der Zwaluw N, Verdijk LB, van de Rest O, de Groot LC, et al. Protein supplementation increases muscle mass gain during prolonged resistance-type exercise training in frail elderly people: a randomized, double-blind, placebo-controlled trial. Journal of the American Medical Directors Association. 2012;13(8):713-9.

Verreijen AM, Verlaan S, Engberink MF, Swinkels S, de Vogel-van den Bosch J, Weijs PJ. A high whey protein-, leucine-, and vitamin D-enriched supplement preserves muscle mass during intentional weight loss in obese older adults: a double-blind randomized controlled trial. The American journal of clinical nutrition. 2015;101(2):279-86.

Vukovich MD, Stubbs NB, Bohlken RM. Body composition in 70-year-old adults responds to dietary beta-hydroxy-beta-methylbutyrate similarly to that of young adults. The Journal of nutrition. 2001;131(7):2049-52.

한국노인노쇠코호트사업단 Korean Frailty and Aging Cohort Study (KFACS)
서울특별시 동대문구 경희대로 23 노쇠학술연구원 / 전화:02-958-2835 / 이메일:admin@kfacs.kr
COPYRIGHT(C) KFACS ALL RIGHTS RESERVED.

TODAY
242
TOTAL
479,363